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1

표리부동의 뜻(의미), 유래, 유의어 및 예문은? "눈앞에 보이는 차이만 알고 결과가 같은 것을 모르는 어리석은 상황을 비유하는 말."인 조삼모사에 대해 어제 공부하였는데요. 오늘은 표리부동의 의미와 유래, 그리고 유의어 및 실제 사용 사례에 대해 살펴보고 마무리하겠습니다. 표리부동(表裏不同)의 의미 ▶표리부동은 겉 표(表), 속 리(裏), 아닐 부(不), 한가지 동(同) 자로 구성된 사자성어로 한자 뜻 그대로 풀이하면 "겉과 속이 같지 않음."을 뜻하는 말로, 쉽게 말해서 "겉으로 드러나는 언행과 속으로 가지는 생각이 다름."을 의미합니다. 표리부동(表裏不同)의 유래 ▶표리부동의 유래는 중국에서부터 전해져 옵니다. 왕희지라는 글을 아주 잘 쓰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어느 날 한 사람이 왕희지의 글씨를 시장에서 팔길래 구입하였습니다. 그런데 글씨를 잘 아.. 2023. 8. 20.
조삼모사의 뜻(의미), 유래, 유의어 및 예문은? "필요할 때는 쓰고 필요가 없으면 야박하게 버린다."이라는 의미를 가진 토사구팽에 대해 어제 공부하였는데요. 오늘은 조삼모사의 의미와 유래, 그리고 유의어 및 실제 사용 사례에 대해 살펴보고 마무리하겠습니다. 조삼모사(朝三暮四)의 의미▶조삼모사는 아침 조(朝), 석 삼(三), 저물 모(暮), 넉 사(四) 자로 구성된 사자성어로 한자 뜻 그대로 풀이하면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를 뜻하는 말로, 쉽게 말해서 "눈앞에 보이는 차이만 알고 결과가 같은 것을 모르는 어리석은 상황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조삼모사(朝三暮四)의 유래 ▶조삼모사의 유래는 중국에서부터 전해져 옵니다. 송나라의 저공이란 사람은 많은 원숭이를 기르고 있었습니다. 원숭이의 먹이가 부족하게 되자 저공은 원숭이들에게 "앞으로 너희들에게.. 2023. 8. 18.
토사구팽의 뜻(의미), 유래, 유의어 및 예문은? "인생의 길흉화복은 늘 바뀌어 변화가 많음을 이르는 말."이라는 의미를 가진 새옹지마에 대해 어제 공부하였는데요. 오늘은 토사구팽의 의미와 유래, 그리고 유의어 및 실제 사용 사례에 대해 살펴보고 마무리하겠습니다. 토사구팽(兎死狗烹)의 의미 ▶토사구팽은 토끼 토(兎), 죽을 사(死), 개 구(狗), 삶을 팽(烹) 자로 구성된 사자성어로 한자 뜻 그대로 풀이하면 "토끼를 잡으면 사냥개가 쓸모없어져 주인에게 삶아 먹힌다."를 뜻하는 말로, 쉽게 말해서 "필요할 때는 쓰고 필요가 없으면 야박하게 버린다."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토사구팽(兎死狗烹)의 유래 ▶토사구팽의 유래는 중국에서부터 전해져 옵니다. 월나라의 왕 구천 밑에는 범려와 문종이라고 하는 뛰어난 신하가 있었습니다. 두 신하가 큰 공을 세우자 구천은 .. 2023. 8. 17.
새옹지마의 뜻(의미), 유래, 유의어 및 예문은? "한 가지 일을 끝까지 밀고 나가면 언젠가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라는 의미를 가진 우공이산에 대해 어제 공부하였는데요. 오늘은 새옹지마의 의미와 유래, 그리고 유의어 및 실제 사용 사례에 대해 살펴보고 마무리하겠습니다. 새옹지마(塞翁之馬)의 의미 ▶새옹지마는 변방 새(塞), 늙은이 옹(翁), 어조사 지(之), 말 마(馬) 자로 구성된 사자성어로 한자 뜻 그대로 풀이하면 "변방에 사는 노인의 말."을 뜻하는 말로, 쉽게 말해서 "인생의 길흉화복은 늘 바뀌어 변화가 많음을 이르는 말."입니다. 세상만사 변화가 많아 어느 것이 화가 되고, 어느 것이 복이 될지 예측하기 어려워 재앙도 슬퍼할 게 못되고 복도 기뻐할 것이 아님을 의미합니다. 새옹지마(塞翁之馬)의 유래 ▶새옹지마의 유래는 중국에서부터 .. 2023. 8. 14.
우공이산의 뜻(의미), 유래, 유의어 및 예문은? "원수를 갚으려고 온갖 괴로움을 참고 겸딤."이라는 의미를 가진 온고지신에 대해 어제 공부하였는데요. 오늘은 우공이산의 의미와 유래, 그리고 유의어 및 실제 사용 사례에 대해 살펴보고 마무리하겠습니다. 우공이산(愚公移山)의 의미 ▶우공이산은 어리석을 우(愚), 공평할 공(公), 옮길 이(移), 뫼 산(山) 자로 구성된 사자성어로 한자 뜻 그대로 풀이하면 "우공이 산을 옮긴다."를 뜻하는 말로, 쉽게 말해서 "한 가지 일을 끝까지 밀고 나가면 언젠가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공이산(愚公移山)의 유래 ▶우공이산의 유래는 『탕문편』에서 전해져 옵니다. 태행산과 왕옥산 사이의 북산이라는 곳에 우공이라는 사람이 살고 있었습니다. 우공은 나이가 이미 90세에 가까운데 이 두산을 돌아다녀야 .. 2023. 8. 12.
와신상담의 뜻(의미), 유래, 유의어 및 예문은? "옛 학문을 되풀이하여 연구 하고, 현실을 처리할 수 있는 새로운 학문을 이해하여야 비로소 남의 스승이 될 자격이 다."라는 의미를 가진 온고지신에 대해 어제 공부하였는데요. 오늘은 와신상담의 의미와 유래, 그리고 유의어 및 실제 사용 사례에 대해 살펴보고 마무리하겠습니다. 와신상담(卧薪嘗膽)의 의미 ▶와신상담은 누울 와(卧), 섶 신(薪), 맛볼 상(嘗), 쓸개 담(膽) 자로 구성된 사자성어로 한자 뜻 그대로 풀이하면 "섶에 눕고 쓸개를 씹는다."를 뜻하는 말로, 쉽게 말해서 "원수를 갚으려고 온갖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의미합니다. 와신상담(卧薪嘗膽)의 유래 ▶와신상담의 유래는 춘추시대 오나라에서 전해져 옵니다. 오나라는 월나라와 크게 싸워 패하였습니다. 그래서 오나라의 왕 합려는 적의 화살로 인해.. 2023. 8. 10.
온고지신의 뜻(의미), 유래, 유의어 및 예문은? "힘이 강한 사람들이 서로 승부를 겨룰 때 혹은 누가 이길지 알 수 없을 만큼 대등한 싸움."이라는 의미를 가진 용호상박에 대해 어제 공부하였는데요. 오늘은 온고지신의 의미와 유래, 그리고 유의어 및 실제 사용 사례에 대해 살펴보고 마무리하겠습니다. 온고지신(溫故知新)의 의미 ▶온고지신은 따뜻할 온(溫), 연고 고(故), 알 지(知), 새 신(新) 자로 구성된 사자성어로 한자 뜻 그대로 풀이하면 "옛 것을 익히고 그것을 미루어서 새것을 안다."를 뜻하는 말로, 쉽게 말해서 "옛 학문을 되풀이하여 연구하고, 현실을 처리할 수 있는 새로운 학문을 이해하여야 비로소 남의 스승이 될 자격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온고지신(溫故知新)의 유래 ▶온고지신의 유래는 춘추시대 유학자인 공자에서부터 유래됩니다. 공자.. 2023. 8. 9.
용호상박의 뜻(의미), 유래, 유의어 및 예문은? "한 번 간 사람이 소식이 없거나 돌아오지 않는다."라는 의미를 가진 함흥차사에 대해 어제 공부하였는데요. 오늘은 용호상박의 의미와 유래, 관련 속담 그리고 유의어 및 실제 사용 사례에 대해 살펴보고 마무리하겠습니다. 용호상박(龍虎相搏)의 의미 ▶용호상박은 용 용(龍), 범 호(虎), 서로 상(相), 칠 박(搏) 자로 구성된 사자성어로 한자 뜻 그대로 풀이하면 "용과 호랑이가 서로 싸운다."를 뜻하는 말로, 쉽게 말해서 "힘이 강한 사람들이 서로 승부를 겨룰 때 혹은 누가 이길지 알 수 없을 만큼 대등한 싸움을 뜻하는 말."을 의미합니다. 용호상박(龍虎相搏)의 유래 ▶용호상박의 유래는 중국 삼국 시대에서부터 전해져 옵니다. 한 지역의 권력을 차지하기 위해 조조와 마초가 다투면서 유래하였습니다. 용은 잔꾀.. 2023. 8. 8.
함흥차사의 뜻(의미), 유래, 속담, 유의어 및 예문은? "남의 비평이나 의견을 조금도 귀담아듣지 아니하고 흘려버린다."라는 의미를 가진 마이동풍에 대해 어제 공부하였는데요. 오늘은 함흥차사의 의미와 유래, 관련 속담 그리고 유의어 및 실제 사용 사례에 대해 살펴보고 마무리하겠습니다. 함흥차사(咸興差使)의 의미 ▶함흥차사는 다 함(咸), 일 흥(興), 다를 차(差), 하여금 사(使) 자로 구성된 사자성어는 "심부름꾼이 가서 소식이 없거나 또는 회답이 더딜 때."를 비유하는 말로, 쉽게 말해서 "한번 간 사람이 돌아오지 않거나 소식이 없음."을 의미합니다. 함흥차사(咸興差使)의 유래 / 속담 ▶함흥차사의 유래는 조선후기 『축수편』에서 유래되었습니다. 1398년 조선 초기 왕위 계승권을 둘러싸고 태조 이성계의 왕자들 사이에 벌어진 두 차례의 난인 왕자의 난에 울분.. 2023. 8.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