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요할 때는 쓰고 필요가 없으면 야박하게 버린다."이라는 의미를 가진 토사구팽에 대해 어제 공부하였는데요. 오늘은 조삼모사의 의미와 유래, 그리고 유의어 및 실제 사용 사례에 대해 살펴보고 마무리하겠습니다.

조삼모사(朝三暮四)의 의미
▶조삼모사는 아침 조(朝), 석 삼(三), 저물 모(暮), 넉 사(四) 자로 구성된 사자성어로 한자 뜻 그대로 풀이하면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를 뜻하는 말로, 쉽게 말해서 "눈앞에 보이는 차이만 알고 결과가 같은 것을 모르는 어리석은 상황을 비유하는 말."입니다.
조삼모사(朝三暮四)의 유래
▶조삼모사의 유래는 중국에서부터 전해져 옵니다. 송나라의 저공이란 사람은 많은 원숭이를 기르고 있었습니다. 원숭이의 먹이가 부족하게 되자 저공은 원숭이들에게 "앞으로 너희들에게 주는 도토리를 아침에 3개, 저녁에 4개로 제한하겠다."라고 말하였습니다. 이를 들은 원숭이들은 화를 내며 아침에 도토리 3개를 먹고는 배가 고파 견디지 못 견딘다고 하였습니다. 그러자 저공은 "그렇다면 아침에 도토리 4개를 주고 저녁에 3개를 주겠다."라고 하였고 이를 들은 원숭이들은 좋아하였습니다.

조삼모사(朝三暮四)의 유의어 및 실제 사용 사례
▶조삼모사의 유의어는 아래와 같습니다.
① 감언이설 : 달 감(甘), 말씀 언(言), 이로울 리(利), 말씀 설(說) 자로 구성된 사자성어로 한자 뜻 그대로 풀이하면 "달콤한 말과 이로운 이야기."라는 뜻으로 남의 비위에 맞도록 꾸민 달콤한 말과 이로운 조건을 내세워 남을 꾀하는 말을 의미합니다.
▶조삼모사의 실제 사용 사례는 아래와 같습니다.
① "사람들은 대형마트의 조삼모사 정책을 비판하고 있다."
② "정부는 실질적인 감면 혜택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조삼모사와 다를 게 없다."
③ "대리점에서 조삼모사 식으로 휴대폰 요금 할인을 해주는 대신 공시지원금을 낮추고 있다."
④ "하나를 주면 하나를 앗아가는 조삼모사식 임금안은 노동자들에게 불만을 야기했다."
⑤ "A치킨점은 가격을 인상한 뒤 한시적 할인을 하여 소비자들에게는 조삼모사일 뿐이다."
오늘은 조삼모사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어떤 문제에 대해서 해결은 하지 않고 조삼모사식으로 대충 넘어가는 상황을 몇 번 봤었습니다. 이럴 때 조삼모사는 그저 꾀에 불과하며 제대로 된 해결책을 제시해야 할 것 같습니다. 오늘 하루도 고생하셨고, 내일 새로운 사자성어로 만나 뵙겠습니다. (텍스트 출처 : 한자 사전, 네이버 지식 사전, 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저의 상식)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견마지로의 뜻(의미), 유래, 유의어 및 예문은? (36) | 2023.08.22 |
---|---|
표리부동의 뜻(의미), 유래, 유의어 및 예문은? (27) | 2023.08.20 |
토사구팽의 뜻(의미), 유래, 유의어 및 예문은? (56) | 2023.08.17 |
새옹지마의 뜻(의미), 유래, 유의어 및 예문은? (60) | 2023.08.14 |
우공이산의 뜻(의미), 유래, 유의어 및 예문은? (62) | 2023.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