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고지식하고 융통성이 없어 구습과 전례만을 고집함을 의미하는 수주대토에 대해 공부하였는데요. 오늘은 결자해지의 의미와 유래, 그리고 반대어 및 실제 사용 사례에 대해 살펴보고 마무리하겠습니다.

결자해지(結者解之)의 의미
▶결자해지는 맺을 결(結), 놈 자(者), 풀 해(解), 갈 지(之) 자로 구성된 사자성어로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일을 맺은 사람이 풀어야 한다."라는 뜻을 갖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서 일을 저지른 사람이 그 일을 해결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결자해지(結者解之)의 유래
▶결자해지는 조선 인조 때의 학자인 홍만종이 지은 문학평론집인 『순오지』에서 유래합니다. 『순오지』에서는 "맺은 자가 그것을 풀고, 일을 시작한 자가 마땅히 끝까지 책임져야 한다."라는 구절이 있습니다. 이 구절은 일을 시작한 사람이 그 일을 책임지고 해결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과거 조선 시대부터 현대까지 이어져 내려온 사자성어인 결자해지는 인생 또는 어떠한 작을 일까지 어떤 일을 맡게 되면 그 일을 맡은 사람이 책임을 다해 해결해야 함을 일깨워줍니다.
결자해지(結者解之)의 반대어 및 실제 사용 사례
▶결자해지의 반대어는 수수방관이 있습니다.
① 수수방관 : 소매 수(袖), 손 수(手), 곁 방(傍), 볼 관(觀) 자로 구성된 사자성어로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손을 소매에 넣고 곁에서 구경만 한다는 뜻입니다. 쉽게 말해서 간섭하거나 거들지 않고 그대로 두는 것을 이르는 말입니다.

▶결자해지의 실제 사용 사례는 아래와 같습니다.
① "친한 친구들 사이에서 일어난 문제를 맨 처음부터 보고 있던 나는 결자해지의 원칙에 따라서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결심했다.
② "대통령은 선거 공약을 결자해지의 원칙에 따라 이행시켰다."
③ "결자해지를 주제로 한 드라마는 시청자에게 책임감의 중요성을 알려주었다."
④ "동아리 회원들은 결자해지의 원칙에 따라 맡은 역할을 끝까지 수행하기로 하였다."
⑤ "블로그 운영을 시작한 민수는 결자해지를 생각하며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하기로 다짐하였다."
오늘은 결자해지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결자해지를 기억하면서 제가 해야 할 "매일 포스팅하기"를 잊지 않아야겠습니다. 어떤 날에는 그냥 쉬고 싶었던 적도 많았지만 꾹 참고 계속 꾸준히 글을 써왔기 때문에 포기하지 않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ㅎㅎ 다들 오늘 하루도 고생하셨고, 내일 새로운 사자성어로 만나 뵙겠습니다. (텍스트 출처 : 한자 사전, 네이버 지식 사전, 저의 상식)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어지교(水魚之交)의 의미는? (59) | 2023.07.31 |
---|---|
견물생심(見物生心)의 의미는? (57) | 2023.07.30 |
수주대토(守株待兎)의 의미는? (26) | 2023.07.28 |
화이부동(和而不同)의 의미와 유래는? (33) | 2023.07.27 |
도원결의(桃園結義)의 의미는? (45) | 2023.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