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을 저지른 사람이 그 일을 해결해야 한다는 결자해지에 대해 어제 공부하였는데요. 오늘은 견물생심의 의미와 한자의 유래, 그리고 유의어 및 실제 사용 사례에 대해 살펴보고 마무리하겠습니다.

견물생심(見物生心)의 의미
▶견물생심은 볼 견(見), 물건 물(物), 날 생(生), 마음 심(心) 자로 구성된 사자성어로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물건을 보면 마음이 생긴다."라는 뜻을 갖고 있습니다. 여기서 마음은 욕심을 의미하며 쉽게 말해서 물건을 보면 그것을 가지고 싶은 욕심이 생김을 의미합니다.
견물생심(見物生心) 한자의 유래
▶견물생심 한자의 유래는 먼저 볼 견(見)의 경우, 눈 목(目) + 어진사람 인(儿) 자로 구성된 한자로 어진사람의 눈에는 사물의 쓰임새가 보이기 때문에 見자가 되었습니다. 물건 물(物)의 경우, 소 우(牛) + 말 물(勿) 자로 구성된 한자로 여기서 勿의 뜻은 "말라."입니다. 따라서 "소를 아무 물건하고 교환하지 말라"라고 해서 物이 되었습니다. 다음으로 날 생(生)의 경우, 흙 토(土) + 싹의 모습이 결합된 형태로써 흙속에서 씨가 자라 싹이 되어 잎과 꽃이 되는 것은 "나다."라고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生이 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마음 심(心)의 경우, 사람의 심장의 모습 나타내는 한자입니다.

견물생심(見物生心)의 반대어 및 실제 사용 사례
▶견물생심의 반대어는 2가지가 있습니다.
① 과유불급 : 지날 과(過), 오히려 유(猶), 아닐 부(不), 미칠 급(及) 자로 구성된 사자성어로 한자 뜻 그대로 풀이하면 "지나침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는 뜻입니다. 쉽게 말해서 지나치거나 모자라지 않고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상태가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② 월영즉식 : 달 월(月), 찰 영(盈), 곧 즉(卽), 밥 식(食) 자로 구성된 사자성어로 한자 뜻 그대로 풀이하면 "달이 차면 반드시 이지러진다."는 뜻입니다. 쉽게 말해서 무슨 일이든지 성하면 반드시 쇠하게 됨을 의미합니다.
▶견물생심의 실제 사용 사례는 아래와 같습니다.
① "돈이 없는 꼬마 아이가 문구점에서 견물생심 때문에 장난감을 훔쳤다."
② "견물생심에 나약할 수밖에 없는 기업은 새로운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③ "그 브랜드의 옷은 너무 이뻐서 견물생심이 발동될 수밖에 없다."
④ "이익을 취할 기회를 얻은 사람은 견물생심이 생기는 건 어쩔 수 없는 자연스러운 일이다."
⑤ "견물생심을 참지 못한 택배기사는 남의 택배를 슬쩍 훔쳐갔다."
오늘은 견물생심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견물생심 자체는 잘못된 것이 맞지만 그 마음을 잘 이용하여 목표 달성에 이용하면 내가 원하는 물건, 지위, 자격 등을 얻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다들 오늘 하루도 고생하셨고, 내일 새로운 사자성어로 만나 뵙겠습니다. (텍스트 출처 : 한자 사전, 네이버 지식 사전, 저의 상식)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광양회(韜光養晦)의 의미는? (74) | 2023.08.01 |
---|---|
수어지교(水魚之交)의 의미는? (59) | 2023.07.31 |
결자해지(結者解之)의 의미는? (48) | 2023.07.29 |
수주대토(守株待兎)의 의미는? (26) | 2023.07.28 |
화이부동(和而不同)의 의미와 유래는? (33) | 2023.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