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우부우부 뜻, 유래, 유의어, 예문 알아보자!

by hajuni99 2025. 6. 8.

우부우부 뜻, 우부우부 유래, 우부우부 유의어, 우부우부 실제 사용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이에 대해 알아봅시다!

 

 

목차

1. 우부우부 뜻

2. 우부우부 유래 

3. 우부우부 유의어 및 예문

 

 

 1. 우부우부 뜻?

 

우부우부는 어리석을 우(愚), 남편 부(夫), 어리석을 우(愚), 아내 부(婦) 자로 구성된 사자성어로 한자 뜻 그대로 풀이하면 어리석은 남자와 여자라는 뜻으로 일반 백성이나 보통 국민을 이르는 말입니다.

 

우부우부 뜻

 

 2. 우부우부 유래?

.
 

우부우부의 유래중국 고대의 유교 경전과 역사서에서 등장합니다. 특히 맹자, 논어, 서경, 사기 같은 고전 속에서 사용되며, 왕이나 정치가가 ‘백성의 삶을 살펴야 한다’는 맥락에서 민중을 일컫는 표현으로 자주 등장합니다. 예를 들어, 《맹자》에서는 “백성은 곧 하늘”이라는 사상 아래, 지식인은 백성을 가르쳐야 하고, 지도자는 민심을 살펴야 한다는 주장이 반복적으로 나옵니다. 이때 ‘愚夫愚婦’라는 말은 그저 지식이 없는 이들이라는 의미지, 가치가 없다는 뜻은 아니었어요. 우리나라에서도 유교사상과 함께 이 개념이 전해졌고, 조선시대의 상소문이나 실록 속 기록, 성리학자들의 저술 등에서 종종 이 표현이 등장합니다. 즉, 오랜 시간 동안 ‘정치의 대상’, ‘교육의 주체’, ‘지도자가 보호해야 할 존재’로서의 백성을 상징하는 말로 사용돼 온 셈이죠.

 

 

 

3. 우부우부의 유의어 및 실제 사용 사례는?

 

우부우부의 유의어는 아래와 같습니다.
 

사자성어                                                            뜻
우부우부(愚夫愚婦) 어리석은 남녀, 즉 일반 백성
업성지민(業成之民) 어떤 산업이나 업종에 종사하는 평범한 백성
백성지부(百姓之父) 백성의 아버지. 지도자의 백성을 향한 자세
민무신불립(民無信不立) 백성이 신뢰하지 않으면 나라가 설 수 없다
민위천(民爲天) 백성이 곧 하늘이다. 민본사상을 담은 표현
 

※ 참고: ‘업성지민(業成之民)’은 비교적 드물게 쓰이지만, 특정 직업이나 생업에 종사하는 평범한 사람들을 지칭하는 표현으로 일부 문헌에서 사용된 바 있습니다.

 

네이버 주제별 사자성어 모음

 

우부우부의 실제 사용 사례는 아래와 같습니다. 
① 성군은 우부우부의 고통을 가장 먼저 헤아릴 줄 알아야 한다.

② 정책은 학자만이 아닌, 우부우부의 삶 속에서 실현되어야 한다.
③ 나랏일은 우부우부의 목소리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④ 우부우부라 하여 정치에 무관심할 수만은 없다.
⑤ 아무리 지식인이더라도, 결국 현실을 살아가는 건 우부우부다.

 

 

‘우부우부(愚夫愚婦)’는 단순히 ‘어리석은 사람들’이 아니라, 정치·지식 권력과 거리를 둔 평범한 사람들을 뜻하는 말입니다. 다소 겸손하거나 예스러운 느낌을 줄 수 있어, 고전적인 문장이나 수사에 종종 등장하죠. 오늘날에도 이 표현을 통해 일반 민중의 중요성과 가치를 다시금 돌아볼 수 있지 않을까요?

 

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오늘 하루도 고생하셨고, 새로운 사자성어로 만나 뵙겠습니다. (텍스트 출처 : 한자 사전, 네이버 지식 백과·사전, 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idioms-고사성어)

( ↓ 이전 포스팅인 우이송경의 뜻이 궁금하시면 아래 참고 부탁드립니다 😊)

 

우이송경 뜻, 유래, 유의어, 예문 알아보자!

우이송경 뜻, 우이송경 유래, 우이송경 유의어, 우이송경 실제 사용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이에 대해 알아봅시다! 목차1. 우이송경 뜻2. 우이송경 유래3. 우이송경 유의어 및 예문 1. 우이송경

hajuni.tistory.com

 

 

 

↓ ↓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왼쪽 아래 공감을 눌러주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