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자성어

빈계지신 뜻, 유래, 유의어, 예문 알아보자!

by hajuni99 2025. 5. 21.

빈계지신 뜻, 빈계지신 유래, 빈계지신 유의어, 빈계지신 실제 사용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이에 대해 알아봅시다!

 

 

목차

1. 빈계지신 뜻

2. 빈계지신 유래

3. 빈계지신 유의어 및 예문 

 

 

 

 1. 빈계지신 뜻?

 

빈계지신은 암컷 빈, 닭 계, 어조사 지, 새벽 신 자로 구성된 사자성어로 한자 뜻 그대로 풀이하면 암탉이 새벽에 운다라는 뜻으로 여자가 남자 대신 나서거나 권력을 잡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빈계유신 뜻

 

 2. 빈계지신 유래?

.
 

빈계지신의 유래는 중국『예기(禮記)』나 『사기(史記)』 등 고전에서 유래했으며, 특히 『사기』의 "빈계지신, 흉(牝鷄之晨, 凶)"이라는 문구에서 나옵니다. 이 말은 주나라 무왕이 주나라를 세우고 난 후, 태공망(姜子牙)이 여인이 정사를 맡으면 나라가 망한다며 쓴 말로 전해집니다. 즉, 암탉이 새벽을 알리면 집이 망한다는 뜻으로, 전통적 질서가 무너지면 나라나 가정이 위태롭다는 경고의 의미입니다.

 

3. 빈계지신의 유의어 및 실제 사용 사례는?

 

빈계지신의 유의어는 아래와 같습니다.
 

① 남존여비 : 남자 남, 높을 존, 여자 녀, 낮을 비 자로 구성된 사자성어로 남자를 존귀히 여기고 여자를 낮게 보는 전통적 가치관을 이르는 말입니다.

 

빈계지신의 실제 사용 사례는 아래와 같습니다. 
① 전국을 혼란에 빠뜨린 여왕의 통치는 빈계지신이라며 많은 신하들이 반발했다.

② 빈계지신이란 말처럼, 시대를 앞서간 여성 지도자에게는 늘 편견이 따랐다.
③ 고대 사회에서는 여성이 권력을 잡는 것을 빈계지신으로 여겨 불길하게 봤다.
④ 그 정치가는 여성의 정치 참여를 두고 빈계지신 운운하며 비판을 받았다.
⑤ 빈계지신의 고정관념은 오늘날 성평등 사회에서는 더 이상 설 자리가 없다.

 

빈계지신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오늘 하루도 고생하셨고, 새로운 사자성어로 만나 뵙겠습니다. (텍스트 출처 : 한자 사전, 네이버 지식 백과·사전, 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idioms-고사성어)

( ↓ 이전 포스팅인 원족근린의 뜻이 궁금하시면 아래 참고 부탁드립니다 😊)

 

원족근린 뜻, 유래, 유의어, 예문 알아보자!

원족근린 뜻, 원족근린 유래, 원족근린 유의어, 원족근린 실제 사용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이에 대해 알아봅시다! 목차1. 원족근린 뜻2. 원족근린 유래3. 원족근린 유의어 및 예문 1. 원족근린

hajuni.tistory.com

 

 

↓ ↓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왼쪽 아래 공감을 눌러주세요 💙